농촌학교 학생, 영어 학습사이트에 접속~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작성일 : 2012-07-18
- 조회수 : 211

남원대강초교 4학년 김 모군은 점심밥을 먹고 난후 일주일에 4차례씩 학교컴퓨터실로 향한다. 김 군은 이곳에서 자기주도 온라인 영어학습사이트에 접속, 말하기 듣기 일기 쓰기 등 영어공부를 한다. 이 학교 지도교사는 김군의 학습상황을 체크하고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해주며, 김 군 스스로도 개인의 학습상태와 실력 향상도를 확인하여 학습 완료 후에도 언제든지 복습하여 부족한 부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라북도교육청의 자기주도 온라인 영어학습이 본격화된다. 교과부로부터 5억원을 지원받아 실시하는 이번 사업은 모두 초중고 37개 학교에서 진행되며 16일 학교장과 담당교사 연수를 갖고 해당 학교별 아이디 발급, 학생 개개인 사전 테스트를 완료하고 7월 말부터 시작으로 본격화될 예정이다.
자기주도 온라인 영어학습은 ▴초등 방과후학교 모형 ▴기숙사 모형 ▴사이버가정학습 모형 등 크게 3가지 형태로 운영된다.
이번 자기주도 온라인 영어학습체계는 쌍방향 음성인식 엔진기반 프로그램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생 눈높이에 맞는 UI(User Interface)로 설계되는 등 풍부한 콘텐츠가 특징. 또 기초․기본․심화․특화학습과정으로 구분해 無학년 개념의 수준별 맞춤 학습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모든 지문과 예시문은 영어 전문연구를 담당하는 현지 원어민에 의해 구성됐으며 상위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해외 현지 교과서의 내용을 근간으로 한 문어적·구어적 표현들이 등장하는 등 질 높은 영어학습이 가능하다. 실시간 평가시스템도 제공한다.
○초등 방과후학교 모형: 도심 외곽지역이나 농산촌 소규모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 모형은 정규수업이 끝난 후 학교 컴퓨터실에서 매주4회씩 진행하며 담당교사가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해준다. 한차례는 가정에서 진행한다. 특히 방학중에는 영어캠프나 영어교실 운영 등 탄력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기숙사모형: 기숙사가 있는 중․고등학교는 방과후시간이나 자율학습을 통해 수준별 맞춤형 학습으로 영어학습의 기본을 다지고 우수학생은 심화학습이 가능하다.
○사이버가정학습 모형: 이 모형은 중대형 규모의 학교에 적합하며 학생들은 학사일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가정에서 개인컴퓨터를 활용, 주5회 온라인 자기주도학습을 하게 된다. 가정에서 학습이 어려운 학생은 학교 컴퓨터실을 활용할 수 있다.
전라북도교육청은 학생들의 원활한 온라인 영어학습을 위해 학교별로 학습지원센터를 구축하여, 학교에서 지도교사들이 매시간 학습상황을 모니터링하고 SMS, 전화 등을 통해 학생들을 지원한다. 또 학습매뉴얼과 동영상 자료 제공은 물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레벨 조정도 해준다. 또 원격기술지원팀을 구성해 컴퓨터의 기술적 장애 등 맞춤형 서비스를 해줄 계획이다.
윤덕임 교육혁신과장은 “이번 사업은 취약계층과 농산촌 학생들에게 영어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사교육비 절감효과가 크다”며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물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에 맞는 말하기와 듣기 학습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학부모와 학교 구성원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